암호화자산의 성공 가능성 분석
□ 블록체인을 위시한 암호화자산 기반 기술은 금융시스템을 포함한 경제 전체의 효율성과 포용성을 개선할 가능성 보유
ㅇ 복수의 원장을 네트워크에 분산 저장하는 분산원장 시스템은 참여자의 제한 여부에 따라 공개형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과 폐쇄형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으로 나뉨.
― 공개형 블록체인은 특정한 관리주체가 없어 원장의 갱신과 유지에 사용자의 자발적인 참여가 요구되므로 암호화자산 발행을 통한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함.
― 폐쇄형 블록체인은 높은 신뢰도 유지 비용, 단일 실패점(SPOF: single point of failure) 존재 등 기존의 중앙집권적 폐쇄형 네트워크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
ㅇ 블록체인 기술의 발달은 송금, 중복대출, 보안 등 기존의 금융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전망이나, 대다수의 프로젝트는 폐쇄형 블록체인으로 추진될 가능성이 높음.
ㅇ 한편, ICO를 통한 프로젝트 자금의 모집은 공개형 블록체인을 통해 일어나고 있으며, 이를 통한 투자자금의 증가가 향후 기술발전의 발판이 될 전망
□ (효율성 제고) 암호화자산의 기반기술인 블록체인은 중앙집중형 관리 기관 없이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어 거래의 효율성 제고
ㅇ 블록체인은 암호화기술과 P2P의 분산형 네트워크에 기반, 자산에 대한 소유권 및 거래를 기록한 원장을 다수의 네트워크 참여자가 공동으로 관리함으로써 신뢰성(trust)과 무결성(integrity)을 확보
―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 장부 갱신이 가능하며, 분산장부를 유지함으로써 위조가 어려워 중앙집중형 신뢰기관(trusted third paty)의 필요성 감소
― 다만, 기술적으로 신뢰성과 무결성을 달성한다고 해서 운용상의 문제점을 회피할 수는 없으며, 중앙집중형 기관의 유지비용 대신 블록체인 갱신에 관련한 비용이 발생할 수 있음.
ㅇ 국제송금(remittance)에서 발생하는 시간 및 중개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해외노동자들이 본국에 소액송금을 하는 경우 은행 혹은 웨스턴유니언(Western Union) 등의 소액송금 서비스를 통해 SWIFT (국제은행간통신협회, Society for Worldwide Interbank Financial Telecommunication)망을 이용
― SWIFT망은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뛰어난 반면 송금부터 수취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고 소액 송금 시 수수료 비중이 높음.
― 전세계 국제송금액이 꾸준히 증가하는 가운데, 주요 송금국가와 수취국가 사이의 직접 외환거래 규모가 크지 않아 다단계 환전이 필요
ㅇ 무역금융을 포함한 공급사슬금융(SCF: supply-chain finance)에 적용가능
― 무역 업무 전반에 걸쳐 발생하는 다양한 무역 관련 정보를 관리하고 금융기회를 제공하는데 편의를 제공함으로써, 다단계에 걸친 문서 중심의 수작업에 의존하는 전통적인 무역금융에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
* 수출업자는 물건을 선적하기 전 선결제를 원하는 반면, 수입업자는 물건 혹은 선적통지(선화증권, B/L: Bill of Lading)를 받을 때까지 대금 결제를 미루기를 원하기 때문에 무역촉진을 위해 무역금융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
* 전통적으로 신용장(L/C: Letter of Credit), 에스크로(escrow) 등 제3자 신용을 이용한 무역금융이 널리 이용되어 왔음.
― 세계 무역의 90%를 차지하는 선적통지 조건부 사후송금 결제방식(O/A, open account)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평가
― 분산원장을 이용하여 서류의 신뢰성을 확보, 스마트계약(smart contract)을 이용한 자동적 계약 실행, 동일한 무역 관련 서류를 이용한 중복 대출 등의 문제 해결을 기대할 수 있음.
□ (포용성 확장) 개인 및 저개발국으로 금융기회의 확장 잠재력
ㅇ 암호화자산은 낮은 거래문턱으로 기존에 금융거래에서 소외되어 있던 개인과 저개발국에 금융기회 확장 가능성이 열려 있음.
― IT 기술의 발전 및 스마트폰의 확산과 더불어 상시 거래 편의성이 증가하였으며, 최소 거래 단위가 작아 적은 자본으로 시장에 참여할 수 있음.
― 신뢰성 있는 금융 인프라가 갖추어져 있지 않은 저개발국의 중소업체에 금융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음.
ㅇ ICO 역시 신생 벤처기업의 자금 조달 방법으로 주목 받고 있음.
― 2017년 중 신생 벤처기업들의 ICO를 통한 자금조달 총액은 38.8억 달러를 초과하여 전년 대비 4배 이상 성장하였으며, 2018. 6월까지 122.5억 달러에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