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주식시장 상장을 통한 자금조달 및 글로벌화 추진
□ 기업공개(IPO, Initial Public Offering)는 주식회사가 발행한 주식을 일반대중에게 널리 분산하고 재무내용을 공시하는 것을 말하며, 창업 이후 소수의 주주에 의해 소유되던 기업 지분을 다수의 불특정 투자자들이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는 공적 자본시장으로서의 주식시장에서 거래되도록 하는 일련의 활동을 의미하며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짐
― 자금조달 능력의 확대
● 기업공개 시의 신주모집 및 유상증자
― 경영합리화 도모
● 회사의 주요 재무 및 경영내용의 공시와 주가를 통한 평가 가능
● 경영합리화의 도모, 재무구조 건실화 및 조직 합리화
― 기업 홍보효과
● 기업 정보의 전달 및 투자 설명회
― 기업 신용도 향상 및 공신력 제고
● 적기의 낮은 조달비용 및 기업의 안정성 증가
● 신용도의 향상과 대외 공신력 확보
― M&A 시의 기업가치 평가의 척도
● M&A 추진 시 주가를 통한 기업가치 평가와 M&A를 위한 자금조달
● M&A를 통한 경영전략 추진을 지원
□ 반면, 기업공개와 유사한 개념으로 상장(listing)이 있으며, 기업공개 시 공모하는 주식의 시장성과 유동성의 확보를 위해서는 매매거래가 활발하여야 하므로 거래소 상장이라는 수단을 사용하며 기업공개와 상장은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하나 다음과 같은 구분 존재
기업공개 | 상장 | |
시장 | 발행시장 | 유통시장 |
목적 | 기업의 자금조달 | 유가증권의 원활한 유통, 공정한 가격형성 |
성격 | 주식분산의 한 형태 | 거래적격 유가증권의 선별 |
규제취지 | 공시주의(발행당사자) | 규제주의(상장 적격성여부 심사) |
특성 | 발행기업과 청약자의 이해 조화 및 발행물량의 소화를 중시 | 공익과 투자자보호, 기업의 계속성, 시장성 중시 |
□ 한편, 교차상장(cross-listing)이란 이미 한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유가증권이 다른 지역 또는 국가의 거래소에 추가적으로 상장되는 것을 의미하며 특히 국경 간 교차상장의 동기로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을 들 수 있음 (Pagano, Roell, and Zechner(2002))
― 재무적 요인
● 유동성이 풍부한 주식시장에서의 자금조달
● 유동성이 풍부한 주식시장에서의 기존 주주의 구주 매각
● 지분의 분산으로 인한 주주 구성의 다양화
● 기업이 영위하는 사업에 대한 이해를 갖춘 투자자와 재무분석가의 존재
● 선진 기업공시 및 지배구조를 갖춘 거래소에의 상장을 통한 투자자 신뢰 확보
● 유동성이 풍부한 시장에서의 거래
● 주식의 고평가가 가능한 시장에의 상장
● 기업 제품의 매출이 주로 발생하는 시장에서의 제품에 대한 평판을 활용
― 제품시장 요인
● 기업 제품의 매출의 고성장이 예상되는 지역에서의 상장을 통한 제품시장의 입지 강화 및 확대 유발효과(spillover effect)
― 상장비용 측면
● 저렴한 상장비용을 가진 거래소에의 상장
□ 교차상장은 일정 규모를 갖추고 전체 매출에서 해외 매출이 비교적 큰 부분을 차지하는 수출기업이 제품이 수출되는 해외 지역의 주 거래소에 상장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해외시장 확대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경우가 많음 (Pagano, Roell, and Zechner(2002))
― 또한 교차상장을 전후하여 총자산, 시가총액, 매출, 종업원 수 등이 비교대상 기업 대비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볼 수 있음 (Pagano, Roell, and Zechner(2002) 및 Gozzi, Levine, Schmukler(2010))
― 이러한 현상은 해외 교차상장 기업이 교차상장을 통하여 성장 및 해외시장 확장을 위한 자금을 조달함과 동시에 이를 통하여 해외제품 시장에서 적극적인 판매 및 마케팅을 전개하며, 해외시장에서의 인지도 및 신인도가 제고된 결과로 해석
□ 이러한 교차상장은 해외 주식시장에서의 자금조달을 통하여 유기적 성장 전략의 추진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상장된 해외 주식시장 소속 기업의 M&A를 위한 기업가치 평가의 척도를 제공하여 M&A를 통한 성장 전략을 지원함
― 특히 World Class 300 기업의 경우는 영위하는 사업 관련 해외 경쟁기업이 많이 상장되어 있는 해외 거래소에 교차상장함으로써 이러한 비교기업 대비 대등한 가치평가를 받을 수 있으며 개인 고객 및 고객 기업, 공급기업, 해당 사업 분야에 특화한 투자자 풀의 강화를 통하여 기업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음
□ 이러한 교차상장의 일반적인 장점에도 불구하고 자본시장이 발달한 국가의 기업이 해외 주식시장에 교차상장하는 경우 유동성, 재무분석가의 커버리지, 다양한 주주구성, 기업 지배구조의 개선, 자금조달 및 가치평가의 측면에서 장점이 거의 없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나,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고성장 시장으로서 국내 시장과 같은 신흥시장의 경우에는 직접적으로 적용되지 않음 (McKinsey & Company (2008))
― 오히려, 신흥 경제국의 기업들은 해외 선진 주식시장으로의 교차상장을 통하여 유동성의 증가, 대규모 자금조달, 기업 지배구조의 대폭적인 개선을 통하여 자본비용을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남 (McKinsey & Company (2008))
□ 교차상장이 갖는 장점이 거의 없다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세계 주요 금융시장인 미국 및 영국 주식시장에서의 교차상장은 최근 교차상장 기업 수의 대체적 감소에도 불구하고, 전체 상장주식 중 교차상장의 비중은 오히려 증가하는 추세임
― 교차상장 비중은 영국의 런던거래소를 제외하고는 미국 NYSE, NASDAQ, 영국 AIM 시장에서 1990년대 중반 이후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영국 성장형 기업을 위한 신흥시장인 AIM에서의 비중 증가가 뚜렷함
― 2011년 말 기준 런던거래소, AIM, NYSE, NASDAQ의 교차상장 비중은 각각 23.4%, 19.7%, 22.5%, 11.1%인 반면, 이러한 시장으로의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교차상장은 거의 전무한 현실임
― 과거 20년간 교차상장의 지속적인 증가 추세는 전 세계 주요 기업의 비즈니스의 글로벌화와 경쟁 강화라는 근본적인 추세에 기인하는 것으로 향후에도 특히 신흥경제 등 고성장 국가를 중심으로 교차상장의 수요가 지속적일 것으로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