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75 디지털금융의 정의와 유형 정리 디지털금융의 정의 가. 의의 □ 디지털금융은“디지털기술을적용한금융상품이나금융거래”를말하는 것으로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전통적인 방식을 변경하는 다양한 상 품, 애플리케이션, 절차와 사업모델”을 포함한다. ○ 디지털금융은‘기술(technology)과 금융(finance)의 결합’이라는 의미에서 ‘핀테크’라고 부르기도 하고, ‘인터넷금융’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 디지털금융은 일반적으로 핀테크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지만,핀테크가 “금융서비스의 기술혁신”을 강조한 용어라면 디지털금융은 “금융서비스 의 기술혁신은 물론 그에 따른 금융시스템 변화 전반”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는 설명도 있다. □ 디지털금융은 전통적인 예금과 대출,증권과 파생상품,보험은 물론 특히 지급수단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22. 9. 5. 빅데이터 플랫폼의 개념과 구성 □ 빅데이터 플랫폼은 ‘데이터 거래・유통이 이루어지는 인터넷 공간’을 의미함 ○ (구매자)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수요자는 인터넷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데이터 상품을 검색하고 유상 또는 무상으로 데이터를 구매할 수 있음 ○ (플랫폼) 구매자가 쉽게 데이터 상품을 검색하여 구매할 수 있도록 빅데이터 센터가 등록한 데이터를 홈페이지(온라인쇼핑몰과 유사함)에 게시하고, 플랫폼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결합・분석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여 수요자에 게 제공함 ○ (판매자)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기관들은 ‘빅데이터 센터’의 지위를 가지 고 빅데이터 플랫폼에 자신의 데이터 상품을 등록함 □ 정부는 플랫폼이 데이터 거래 환경을 만들고 유지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센터가 데이터를 상품화하고 관리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등을 지원.. 2022. 9. 5. 퇴직연금 사용자와 근로자가 부담하는 세금은? 퇴직연금 사용자와 근로자가 부담하는 세금은? 퇴직연금에 대한 과세체계는 2006년 1월에 새롭게 도입되었으며, 2001년부터 시행되어 온 연금소득 과세체계의 기본 틀에 따라 운영되고 있다. 퇴직연금에 대한 과세체계는 부담금 납입단계, 운용수익 발생단계, 퇴직급여 수령단계로 나누어져 있다. 부담금 납입단계는 사용자 또는 근로자가 납입하는 부담금에 대해 과 세, 과세이연 또는 면세를 적용한다. 이를 현금 등의 부담금이 연금제도에 투입되므로 흔히 입구세제라고도 한다. 운용수익 발생단계는 연금자산의 운용과정에서 발생되는 운용수익에 대해 과세, 과세이연 또는 면세를 적용한다. 퇴직급여 수령단계는 연금수령형태(연금 또는 일시금) 및 이전단계에서 의 과세여부에 따라 다양한 과세방법이 있다. 이를 연금제도로부터 급여수.. 2022. 9. 5. 퇴직연금제도의 유형(DB, DC, 개인형 IRP) 및 장단점 정리 퇴직연금제도의 유형 우리나라에 도입된 퇴직연금제도는 [표 1]에서 보는 같이 확정급여형 퇴직연금(DB; Defined Benefit Retirement Pension), 확정기여형 퇴직 연금(DC형; Defined Contribution Retirement Pension), 개인형 퇴직연금(IRP형; Individual Retirement Pension)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성된다. 근로자가 퇴직시에 수령할 퇴직급여가 근무기간과 평균임금에 의해 사 전적으로 확정되어 있는 제도가 DB형이다. 이 제도는 사용자가 적립금을 직접 운용하므로 운용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납입해야 할 부담금 수준이 변 동될 수 있다. 또한 임금인상률·퇴직률·운용수익률 등 연금액 산정의 기 초가 되는 가정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도 사용.. 2022. 9. 5. 이전 1 ··· 38 39 40 41 42 43 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