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75 우리나라의 신용정보 관련 법령 구조 분석 우리나라의 신용정보 관련 법령 구조 분석 □ 현행 신용정보의 집중·활용 체계는 과거 우리나라에서 신용정보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유통이 원활하지 아니한 점을 개선하여 신용정보집중기관 중심의 신용정보수집력 강화를 통해 신용정보운영체계의 신속한 정착과 신용정보업자의 경쟁력 있는 정보서비스의 질적향상을 통하여 최대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신용정보운영체계를 구축하려한 것에서부터 비롯됨. ○ 현재 신용정보운영체계를 구축하기 전에 1992년 ‘신용정보 교환 및 활용지침’에 의하여 전국은행연합회를 신용정보집중기관으로 하는 금융기관간의 강제적 개인신용정보운영체계가 운영되고 있었음. ○ 또한, 민간영역에서 ‘한국신용정보’가 신용조사업법을 업무기반으로 하여 전 신용공여기관을 대상으로 한 자율적 신용정보운영체계를 구축하여 활.. 2022. 9. 14. 서민금융진흥기금과 해외 유사 기관 비교 서민금융진흥기금과 해외 유사 기관 비교 □ 우리나라 협동조합형 금융기관의 경우 은행과 소비자 대출시장에서 대등하게 상호 경쟁하고 있는 캐나다, 스페인 등과 달리 실질적으로 분할되어 있는 대출시장에서 영업을 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민간만을 중심으로 하는 방식 보다는 정부 및 공공 재원을 활용하는 미국 및 영국의 방식으로 서민 및 지역 금융시장 기능 정상화 문제에 접근할 필요 ○ 캐나다, 스페인 등의 경우 오랜 역사를 바탕으로 민간 중심의 서민 및 지역 금융 시장이 활성화 되어 있음. * 캐나다 신협금융그룹 데잘댕(Desjardins), 스페인 몬드라곤 협동조합그룹의 라보랄 쿠차(Laboral Kutxa) 등이 대표적인 예 ○ 반면, 영국(BSC)과 미국(CDFIF)의 경우 정부재정 및 공공재원으로 조성된 .. 2022. 9. 14. 암호화자산의 성공 가능성 분석 암호화자산의 성공 가능성 분석 □ 블록체인을 위시한 암호화자산 기반 기술은 금융시스템을 포함한 경제 전체의 효율성과 포용성을 개선할 가능성 보유 ㅇ 복수의 원장을 네트워크에 분산 저장하는 분산원장 시스템은 참여자의 제한 여부에 따라 공개형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과 폐쇄형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으로 나뉨. ― 공개형 블록체인은 특정한 관리주체가 없어 원장의 갱신과 유지에 사용자의 자발적인 참여가 요구되므로 암호화자산 발행을 통한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함. ― 폐쇄형 블록체인은 높은 신뢰도 유지 비용, 단일 실패점(SPOF: single point of failure) 존재 등 기존의 중앙집권적 폐쇄형 네트워크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 ㅇ 블록체인.. 2022. 9. 14. 신용정보에 대한 정의와 이론적 배경 □ 신용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 ○ 본래 윤리적 관점에서 인식되던 신용의 개념은 경제적으로는 금융거래의 미래상환 능력이라는 제한적인 의미로도 사용 ○ 경제적 관점에서는 ‘금융거래를 수반하는 실물 경제활동에 있어서 장래의 어느 시점에 그 대가를 지급할 것을 약속하고 현재의 경제적 가치를 획득할 수 있는 능력 또는 획득된 서비스’이라고 정의할 수 있음. □ 신용정보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 신용정보란 경제주체의 신용을 파악하기 위해서 필요한 판단자료로서 다음과 같이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음. ○ 1차 정보(Data): 단순한 사실의 집합으로서 어떤 특정 목적에 대해서 평가되거나 가공되지 않은 상태의 단순한 사실 및 보통의 자료 ○ 2차 정보(Information): 일정한 절차에 따라서 Data를 일반적인.. 2022. 9. 14.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44 다음